전체 글262 REST API 설계 가이드 정의 및 특징• REST(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란 ‘자원(Resource)을 의미(Representation)로 구분하여 그 상태를 전달’ 하는 것을 뜻함• 즉, HTTP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를 통해 자원(Resource)을 명시하고, HTTP Method(POST, GET, PUT, DELETE)를 통해 해당 자원에 대한 CRUD Operation을 적용하는 것을 의미• REST라는 단어는 Roy Fielding이 2000년 캘리포니아 대학교 어바인 캠퍼스의 박사논문으로 제출한 'Architectural Styles and the Design of Network-based Software Architectures'에서 처음으로 언.. 2025. 4. 16. 【GraphQL】今注目されているGraphQLって何? 【API】 初めにみなさんはGraphQLについて聞いたことはありますか?自分は言葉自体は聞いたことありますが、具体的にどのようなものかは現職に就くまで全然聞いたことがありませんでした。今まではAPIといえばREST APIが主流でしたが、GraphQLはREST APIにないメリットも沢山あるので今回はまとめていこうと思いますそもそもREST APIって?その名の通りREST(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の原則に基づいて設計されたAPIのことです。RESTの原則としてアドレスの可能性→全ての情報が一意なURIを持っていて、提供する情報をURIで表現ができる。統一されたインターフェス→「GET POST PUT DELETE」等のHTTPメソッドでPOSTしレスポンスは「JSON」形式で返すといったような、あらかじめ定義・共有された方法でやり取りされることです。.. 2025. 4. 16. 오라클 튜닝 실습 나혼렙 BARANUPDATE09SELECT * FROM SCOTT25.TEST;mysql07 / mysqlscott07 / oracleSQL19##스칼라 쿼리의 장단점을 설명할 수 있다실행계획의 FILTER 를 설명할 수 있다.스칼라 쿼리의 장단점을 설명할 수 있다인라인뷰의 MERGE 방식을 설명할 수 있다NESTED LOOP JOIN 으로 풀리는 SQL 문을 HASH JOIN으로 전개되도록 HINT로 SQL문을 수정할 수 있다.cdspsh startup.shsh conn.shcreate database test;use test;source /home/mysql07/test2.sqlmysql07/mysql ~ scott07/oracleSQL19##140.238.28.217 ~ 131.186.30.23.. 2024. 10. 13. Nuxt.js 란? 개념과 예제 (SSR, CSR, Universal, asyncData, fetch...) 📢 들어가기 전에이번 포스팅에선 Nuxt.js 의 개념과 구조에 대해 알아보고 간단한 예제를 구현해본다.CSR vs SSRNuxt.js 에 대해 알아보기에 앞서, SSR과 CSR에 대해 알아보자.이 두가지 개념은 Nuxt.js의 가장 큰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CSR (Client Side Rendering)클라이언트 사이드 렌더링.SPA(Single Page Application)에서 사용되는 방식이다.SPA란, 최초 한번 페이지를 전체 로딩한 후 데이터만 변경해서 사용할 수 있는 웹 어플리케이션을 말한다. 최초 페이지를 로딩한 시점부터는 페이징 리로딩(깜빡임) 없이 필요한 부분만 서버로부터 받아서 화면을 갱신하는 렌더링 방법이다.필요한 부분만 갱신하기 때문에 페이지 이동이 자연스럽다. 서버에서 V.. 2024. 10. 6. 서브쿼리 동작 방식을 제어하는 힌트들 서브쿼리 동작 방식을 제어하는 힌트들 HINT명설명NO_UNNEST서브쿼리를 FILTER동작방식으로 처리하고 싶을 경우, 서브쿼리에 NO_UNNEST 힌트를 사용UNNESTFILTER 동작방식을 선택하지 않고 조인 동작방식으로 처리하고자 할 때. 서브쿼리에 UNNEST 힌트 사용NL_SJEXISTS나 IN조건 사용시 서브쿼리에 UNNEST와 함께 NL_SJ힌트를 사용하면, NESTED LOOPS JOIN SEMI로 처리되도록 유도HASH_SJEXISTS나 IN조건을 사용한 경우 서브쿼리에 UNNEST와 함께 HASH_SJ 힌트를 부여하면 HASH JOIN SEMI로 처리하도록 제어NL_AJNOT EXISTS나 NOT IN 조건을 사용한 경우 서브쿼리에 UNNEST와 함께 NL_AJ 힌트를 사용하면, NE.. 2024. 9. 13. 접근 방법을 결정하는 힌트절? USE_NL, USE_HASH ORDERED와 LEADING은 테이블 간 접근 순서를 결정하는 힌트절이지만 USE_NL, USE_HASH는 테이블 간 접근 방법을 결정하는 힌트절이다. 이러한 힌트절을 통해 오라클 조인 방식을 상황에 맞게 선택해 사용할 수 있다. 오라클의 조인 방식에는 Nested Loop Join, Hash Join, Sort Merge Join 3가지가 있지만, 이중에서 Sort Merge Join은 사용되는 경우가 거의 없다. 개발자가 가장 많이 접하는 조인 방식은 Nested Loop Join이다. 이는 순차적인 루프에 의한 테이블 간 접근 방식이며, 온라인성(OLTP) 쿼리에 많이 사용된다. Hash Join은 해시 함수를 이용한 테이블 간 접근 방식으로, 배치성(Batch) 쿼리에 많이 사용된다. 위 그림.. 2024. 9. 13. 이전 1 2 3 4 ··· 44 다음